intTypePromotion=1
zunia.vn Tuyển sinh 2024 dành cho Gen-Z zunia.vn zunia.vn
ADSENSE

Analysis of trends related to Vietnam in Korea

Chia sẻ: Sở Trí Tu | Ngày: | Loại File: PDF | Số trang:8

7
lượt xem
1
download
 
  Download Vui lòng tải xuống để xem tài liệu đầy đủ

As more Koreans invested in Vietnam,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increased due to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in Korea would be beneficial for employment within Vietnam. Also, the ratio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graduate school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researches related to Vietnam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articles and papers of journals searched through the Vietnam keyword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 also have examined research trends through Big Data Analysis.

Chủ đề:
Lưu

Nội dung Text: Analysis of trends related to Vietnam in Korea

  1. ANALYSIS OF TRENDS RELATED TO VIETNAM IN KOREA 한국내 베트남관련 연구 트렌드 분석 Yi, Insun Khoa Khoa học Xã hội và Nhân văn Đại học Công nghệ TP. Hồ Chí Minh (HUTECH), Vietnam Email: si.yi@hutech.edu.vn TÓM TẮT As more Koreans invested in Vietnam,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increased due to the perception that studying in Korea would be beneficial for employment within Vietnam. Also, the ratio of international students entering graduate school is increasing. In this study, the researches related to Vietnam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articles and papers of journals searched through the Vietnam keyword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 also have examined research trends through Big Data Analysi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Vietnam related research by using LDA technology, which is probabilistic topic modeling technique. And we classified into eight leading themes - war and history, enterprise and investment, Korean Wave and brand, mission and regional development, marriage and migration, economy and strategy, education and culture, politics and reform.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vide basic data for Vietnamese researchers to support research items and determine research themes. 요약: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많아지면서, 베트남 내에서 한국 유학이 취업에 유리할 것이라는 인식으로 한국으로의 유학생이 증가하였고, 대학원 과정에 진학하는 유학생 비율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국회도서관의 베트남 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베트남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근 연구 트렌드를 검토하였다. 여기서 확률적 토픽 모델링 기법인 LDA기술을 사용하여 ‘베트남’ 관련 연구들을 주제별로 현황을 분석하였고, 8개의 선도 주제-전쟁․역사(V1), 기업․투자(V2), 한류․브랜드(V3), 선교․지역개발(V4), 결혼․이주(V5), 경제․전략(V6), 교육․문화(V7), 정치․개혁(V8)-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베트남인 연구자가 연구주제를 결정하는 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1. 서 론 법무부의 출입국ㆍ외국인 정책 통계에 따르면 2019년 3월 국내 외국인 유학생(어학연수생 포함)이 17만5천명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증감하고 있는 상황이다. 외국 유학생 유치라는 당면과제를 위해서 정부는 2001년 ‗외국인 유학생 유치확대 종합방안‘ 2004년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를 통해 유치 정책을 실시하였다. 교육부는 2012년 ‗스터디 코리아 2020프로젝트(Study Korea 2020 Project)‘를 통해 2011년 8만8468명 수준이던 유학생을 2020년에는 20만명으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2015년 ‗스터디 코리아 2020프로젝트‘를 보완하여 원래 계획보다 3년 연장된 2023년까지 유학생 20만명을 유치한다는 방안을 밝혔다. 외국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서 유학생관리 방안으로 정부의 1260
  2. 2012년부터 대학을 대상으로 시행한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역량 인증제(IEQAS: International Education uality Assurance System)‘ 를 실시하여 유학생 관리를 질적으로 증진시키도록 노력하고 있다(교육부, 2017) 최근 한국 내 베트남 유학생은 급증하여 증가율에서는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일반 대학교의 경우, 2018년을 기준하여 2015년 대비 5배, 2016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하였으며, 전문대학의 경우 2015년 대비16배, 2016년 대비 6.4배가 증가하였다. 2018년 현재 국내 대학의 학위 과정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비율을 살펴보면, 사회계열 53.5%(27,28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인문계열 16.2%(8,284명), 공학계열 11.7%(5,969명), 예·체능계열 11.3%(5,754명), 자연계열5.9%(2,985명) 순이었다. 반면 의약계열 0.7%(369명)과 교육계열 0.7%(348명)은 전체 유학생의 1%미만으로 나타났다. 전문대학의 경우 사회계열(39.4%)과 공학계열(30.8%)에 외국인 유학생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일반대학에는 외국인 유학생이 사회계열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Department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9). 특이하게도 출신국가 외국인 유학생은 중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외국인 연수생은 베트남이 매우 큰 폭으로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베트남 유학생들의 유학 목적이 학문목적인 경우가 적음을 나타낸다. 학문목적의 유학이 적기 때문에 국내에서 연구하는 베트남인들은 연구 과제를 선정하거나 수행하는 것이 다소 어려울 수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1972년부터 최근까지의 베트남 관련 한 학술지와 학위 논문을 빅데이터 분석으로 베트남 관련 연구의 트렌드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여기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베트남‘에 관련한 연구들을 주제별 현황 분석을 통해서 8개의 선도 주제를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로 추출한 선도 주제를 통한 트렌드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트렌드의 변화를 최근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학문목적의 베트남 유학생에게 연구 과제를 선택할 때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국교 정상화로 1975년 베트남 통일과 함께 단절되었던 외교관계를 회복하게 되었다. 2001년은 우호협력관계를 한 차원 높여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였고, 2009년은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협력 관계로 격상하게 되었다. 베트남 외국인 투자청(FIA)에 따르면 2019년은 한국과 베트남 협력의 성과로 한국이 외국인직접투자(FDI) 중 2위를 기록하였다(베트남 투자청, 2018). 2018년 체류외국인은 중국인(한국계 중국인 포함) 다음으로 베트남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고용된 외국인 노동자도 중국인(한국계 중국인 포함)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베트남 유학생의 숫자도 4만9천명으로 그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 2018). 이에 교육부의 유학생 유치한다는 방안에 힘입어 2019년 3월에는 17,497명으로 공식 통계 이래 사상 최대를 기록하였다(출입국 외국인 정책 본부, 2019). 외국인 유학생은 외국인 또는 재외국민으로서 국내 대학 및 대학원에서 수학하거나 연구를 하는 학생을 의미하며, 국내대학 정규과정, 연구과정 그리고 대학 부설 어학원에서 한국어 학습을 하는 학생을 말한다. 즉 유학생은 전문학사·일반학사와 석·박사, 어학연수, 교환학생 등이 모두 포함된다. 2018년 학사와 석·박사 등 학위과정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수는 8만6036명이고, 학사와 석·박사 수학 연한으로 나눠보면 학년 당 인원은 그 수가 훨씬 적어진다. 교육통계서비스(KESS)에 따르면 국내 대학원 전체 학위과정의 외국인 유학생수는 2005년이래로 꾸준히 늘어나 2018년 현재 2만9939명으로 1261
  3. 2005년 5,742명에 비하여 약5.2 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Department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9). 이에 대한 과정별 외국인 유학생 수 통계 수치는 아래의 그림 1, 그림 2과 같다. 아시아 국가 내에서는 석사과정과 박사 과정 외국인 유학생과 외국인 연수생 모두 중국 출신 학생들이 가장 비중을 차지 하였다. 그러나 외국인 연수생 비율은 베트남 출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8년의 유학생 증가의 원인은 어학 연수생으로 인한 증가로 볼 수 있다. 그림 1. 석사과정 외국인 유학생 수(명) 그림2. 박사과정 외국인 유학생 수(명) 유학생 중 한국어 연수 비자(D-4-1)로 체류하고 있는 유학생은 2019년 3월 33%이고, 베트남 유학생은 70%를 차지하고 있다(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9). 2018년 베트남인 학위과정 유학생 수는 전체 2,837명이고, 석사과정, 1,497, 박사과정 953명, 석박사통합과정 387명이었다. 일부 대학에서는 학령인구 감소로 발생하는 정원 유지와 재정 운용의 어려움을 외국인 유학생 유치로 해결하려 하고 1262
  4. 있다. 유학생 유치를 위해 현지까지 직접 찾아가기도 한다. 공학계열의 경우, 베트남이 공업을 중심으로 경제성장을 추구하면서 다수의 베트남 학생이 아시아의 공학 선진국으로 한국의 선택하였고, 한국학생들의 미국이나 유럽 진출로 인력이 부족한 한국의 이공계에서도 이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유학생 수 확보에만 치중한 탓에 상당수 대학들이 교육내용의 질적 개선이나 체계적 학사관리를 등한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어학연수생(D-4-1)은 기존에는 교육부의 한국어 능력 권장 가이드라인이었던 토픽 3급에 못 미치더라도 대학 입학과 졸업이 가능했지만, 2020년 1월부터는 토픽 2급 이상 소유자에게만 비자를 발급하기로 했다(교육부, 법무부, 2018). 한국 대학은 이제 양적 성장 전략에서 벗어나 새로운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학위 과정 중도 탈락 이유를 분석하고 한국어 학습이나 취업 등 유학 목적에 맞게 유학생을 유치해야 한다. 그리고 고등교육의 질을 높여 국제경쟁력을 갖춘 대학을 육성하고, 어학 연수 목적이 아닌 학문 목적의 외국의 우수한 인재들의 유치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베트남의 한국 연구자들에게 베트남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가 의미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 기법(LDA)을 통해 최근까지 베트남 관련 논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주제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연도별 연구주제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베트남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변화의 방향을 파악하여 연구주제를 결정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통계분석 본 연구는 최근까지 베트남에 대한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국회도서관의 ―베트남‖키워드로 학술지/학위논문들로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국회도서관의 자료 중 학술지로 분류된 신문사나 일반잡지에 실린 학술지를 제외한 논문들이 검색하여 무료제공 프로그램 R을 활용하여 전체 자료를 크롤링하여 수집하였다. 연도별 논문수로 볼 때, 베트남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는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단어의 품사별로 식별하고, 자연어 처리 단계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한국어 사전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단계를 거칠 때 ‗연구방법‘에 대한 표현이 제거되도록 하여 ‗주제‘를 저해하는 표현이 없도록 정의된 단어를 여과시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한 데이터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을 만한 수의 개념으로 요약하는 확률적 토픽 모델링 기법인 LDA(Blei, 2012)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로부터 숨겨진 주제(Hidden Topic)를 모델링한다. 이 모델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Gibbs Sampling(Casella & George, 1992)이 사용되었으며, 이 방법을 통해 텍스트 문서 집합으로부터 숨겨진 주제를 모델링하였다. 상용화되어 있거나 무료로 제공되는 다양한 LDA 분석도구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에서 제공하는 lda패키지를 이용하였다. 각 토픽은 모든 논문에서 발견된 단어들의 확률분포도, 동일단어가 모든 토픽에 있더라도 그 단어의 출현확률과 다른 단어들의 출현확률들로 토픽의 유일한 특성을 갖게 된다. 숨겨진 주제의 개수는 5개~10개, 15개, 20개, 25개, 30개로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10개의 LDA 모델을 추정하였으며, 의미가 모호하거나 중의성이 큰 단어들로 의심되는 단어들이 등장할 때는 보다 명확한 명명을 위해 토픽별 상위 논문 정보를 이용하였다. 각 모델의 결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발견된 주제가 독립적으로 군집화되었다고 판단되는 모델을 선택하였으며, 최종 8개의 주제로 분류되었다. LDA에 따른 주제별 핵심어는 표 1.에 제시하였다. 주제(토픽)의 개념 명명부여는 해당 분야 전문가의 도움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이후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1263
  5.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들의 빈도를 기초로 주제의 선호 정도를 파악하였다. 출현빈도 표준점수 기준 상위 토픽을 추출하여 서로 중복되거나 추상성이 높아 단일 이슈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된 토픽을 제거하고 표 1과 같이 8개 토픽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출현빈도를 분석하였다. 표 1. LDA에 따른 주제별 핵심어 토픽 V1 베트남 전쟁 베트남전쟁 한국 파병 미국 소설 한국군 참전 프랑스 기억 조선 식민지 토픽 V2 베트남 진출 한국 전략 한국기업 기업 시장 직접투자 對베트남 해외직접투자 중소기 업 투자 우리나라 수출 FDI 해외 베트남 한국 소비자 한류 브랜드 서비스 구매 문화 활동 태도 기업 베트남인 선택 관 토픽 V3 광 행동 사회적 국가이미지 책임 품질 고객만족 관광객 대학생 온라인 토픽 V4 베트남 선교 하노이 북부 정책 한국 변화 남부 전략 지역 개발 전통 호치민시 농촌 마 을 토지 호치민 아파트 토픽 V5 베트남 결혼 여성 이민 한국 이주 결혼이주한국 적응 다문화 가족 중국 한국어 필리 핀 가정 출신 거주 국제결혼 지역 이주노동자 자녀 문화 사회적 스트레스 토픽 V6 베트남 한국 아시아 정책 전략 ODA 협력 개발 동남 평가 FTA 개발원 캄보디아 전자 공적 국제 발전 국가 외교 교육 사업 인도네시아 토픽 V7 베트남 교육 한국어 한국 학습자 다문화 오류 발음 문화 한자어 교과서 가정 설화 중 국 내용 한자 아동 읽기 토픽 V8 베트남 중국 북한 개혁 변화 정책 시사점 제도 통합 체제전환 통일 사회주의 정치 역 사 체제 남북한 한국 도이머이 개혁 그림 3. 주제 토픽별 시계열 트렌트 주제로 분류된 토픽들은 전쟁․역사(V1), 기업․투자(V2), 한류․브랜드(V3), 선교․지역개발(V4), 결혼․이주(V5), 경제․전략(V6), 교육․문화(V7), 정치․개혁(V8)이다. 각 토픽은 표 1과 토픽별 상위 논문 정보를 기반으로 명칭이 부여되었다. 1264
  6.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논문 전체에 대해 그림 3과 같이 주제 토픽별 시계열 그림을 통해 알아본 트렌트 결과 2000년대에 시작된 베트남 관련 연구는 2007년을 기점으로 증가하여, 2010년 이후 변화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2004년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를 통한 유학생 정책과 법과 제도적 차원의 지원인 2007년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같은 지원 정책사업에 대한 관심이 수행되어 온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분야의 이슈 또는 연구개발 수요의 분포를 분석하여 유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아이템을 제공하여 지원해준다면 이는 정부의 정책에 보조를 맞추어 주는 의미있는 과업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전쟁.역사를 주제로 한 경우, 학위논문에서 보다 학술지 게재 논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를 기점으로 상승추세이며, 2011년에 감소한 이후 2012년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투자를 주제로 한 경우, 학술지 게재 논문보다 학위논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증가하다가 2014년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1991년~2000년 사이의 학위논문에 관한 추세는 5년 동안 증가했다가 향후 5년 동안 감소했다는 것이다. 한류.브랜드를 주제로 한 경우, 2011년을 기점으로 학위논문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도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선교.지역개발를 주제로 한 경우는 전반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결혼.이주를 주제로 한 경우는 학술지 게재 논문이 2011년대에 약간 주춤하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학술지 게재 논문이나 학위논문은 강한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경제.전략도 꾸준히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교육.문화를 주제로 한 경우, 학술지 게재 논문은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 폭이 다소 낮으며, 학위논문은 2011년까지 증가하다가 2012년, 2013년에 약간 감소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정치.개혁를 주제로 한 경우, 학위논문은 증가폭이 낮으며, 학술지 게재 논문도 2014년을 제외하고 2006년을 기점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폭 증가 추세이다. 내국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주제 전체에 대해 관심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전쟁․역사, 결혼․이주 트렌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경우, 기업․진출, 한류․브랜드와 교육․문화 트렌드를 논문 주제로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파악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그림 4에 제시하였다. 학위논문과 학술지에서 내국인은 외국인에 비해 정치․개혁, 결혼․이주의 주제에 대해 더 관심이 있게 나온 반면 외국인은 내국인에 비해 한류․브랜드에 더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현재까지 연도별 연구 주제의 트렌드 파악과 함께 최근 베트남 관련 논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주제가 무엇인지를 주제별, 내외국인 선호별로 알아보았다. 그림4. 내국인과 외국인 선호 토픽비교 4. 결론 1265
  7. 본 연구는 최근 베트남에 대한 연구 트렌드를 파악하기 위해 국회도서관의 ―베트남‖키워드를 통해 검색된 학술지 게재 논문/학위논문들로 한정하였다. 확률적 토픽 모델링 기법(LDA)을 통해 최근까지의 베트남 관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가장 많은 관심을 갖는 주제 8가 선정되었다. 학술지 게재 논문은 전쟁․역사 2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학위논문은 기업․투자 2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술지 게재 논문과 학위논문 전체 트렌트 결과 2000년대에 시작된 베트남 관련 연구는 2007년을 기점으로 증가하여, 2010년 이후 두드러진 증가가 보였다. 토픽별로 전쟁․역사인 경우, 학위논문에서 보다 학술지 게재 논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대를 기점으로 상승 추세이며, 2011년에 감소한 이후 2012년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은 미국과 베트남이 자유무역협정을 체결을 한 해이다. 이를 계기로 더 많이 이슈화 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975년 베트남 전쟁 이후 단절된 한국-베트남은 1992년에 수교되었고, 수교 20주년이 되는 2012년은 한국과 베트남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협력 관계가 돈독하게 되어 베트남에 대한 관심이 부각된 것으로 보인다. 기업․투자인 경우, 학술지 게재 논문보다 학위논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1년까지 증가하다가 2014년까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1991년~2000년 사이의 학위논문에 관한 추세는 5년 동안 증가했다가 향후 5년 동안 감소했다는 것이다. 과거 베트남은 한국 정부의 최우선 개발원조대상국이었으며 또한 1990년대 이후 한국이 베트남의 주요 투자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 내의 투자는 여러 불합리한 여건으로 인해서 투자를 중도에 포기한 경우가 다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한류․브랜드인 경우, 2011년을 기점으로 학위논문이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에도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드라마와 영화 등 한류 열풍에 힘입어 영화관 한류, 화장품 한류 등과 같이 한류 스타 브랜드와 중소기업 제품을 융합하여 기업브랜드 이미지를 극대화하면서 한류의 미래 산업화를 지원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선교․지역개발인 경우는 전반적으로 소폭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다수의 국민이 불교를 믿고 결혼·장례 등 전통풍속에서 유교문화가 깊게 자리잡고 있다. 특히, 기독교 선교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베트남 내 선교 활동과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베트남의 호치민, 하노이 지역과 그 주변 농촌을 중심으로 한 지역 개발에는 미비하지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혼․이주인 경우는 학술지 게재 논문이 2011년대에 약간 주춤하긴 하였으나 전반적으로 학술지 게재 논문이나 학위논문은 강한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1990년대 중반부터 '농촌 살리기'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결혼이주여성의 역사는 드라마와 오락물을 중심으로 한 한류로 인해 2011년 이후 베트남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면서 이후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다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온 결혼 이주여성/노동자들에게 한국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가족교육, 상담 및 자녀교육까지 다문화가족의 한국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을 위해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여 성공적인 다문화가정을 이루도록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통합차원에서 베트남의 생활문화, 음식 및 체험과 같은 다문화 교육 확대 등 다양한 교류를 진행함으로써, 문화차이를 극복하고 상호 이해하는 통합문화로 재형성해나가고 있는 시점으로 미루어보아 증가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경제․전략인 경우, 꾸준히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국내 경제와 사회 발전을 위해 공적개발원조(ODA)가 필요한 베트남으로서는 한국이 중요한 동반자이며 더불어 과학기술, 자본, 선진 1266
  8. 경영 기법 등의 우수한 자원과 개발 경험을 지니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베트남이 중요한 전략적인 투자처가 되었다. 그러나 경제 전략에 대한 동향은 학술적인 관심을 이끌어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문화인 경우, 학술지 게재 논문은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 폭이 다소 낮으며, 학위논문은 2011년까지 증가하다가 2012년, 2013년에 약간 감소한 경우를 제외하고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학 내 한국어교육학과의 개설로 학술지 게재 논문에 비해 학위논문의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주여성들이 한국어 학습을 하였지만, 그 수준은 자녀를 교육할 만큼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중 언어 환경에 놓여있는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한국어 습득에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 입장에서의 한국어 교육이 아닌 베트남인 입장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사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한국어를 쉽게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는 여러 방법들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치․개혁인 경우, 학위논문은 증가폭이 낮으며, 학술지 게재 논문도 2014년을 제외하고 2006년을 기점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폭 증가 추세이다. 베트남 정치개혁 동향은 다루기에 민감한 상황이기 때문에 학술적인 관심이 낮은 편으로 보인다. 2015년까지 내국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주제 전체에 대해 관심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전쟁․역사, 결혼․이주 트렌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경우, 기업․진출, 한류․브랜드, 교육․문화 트렌드를 논문 주제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ÀI LIỆU THAM KHẢO [1] 교육부 (2017) 대학원대학 외국인 유학생 외국인 유학생 유치ㆍ관리 역량 평가 방안 연구 [2] 교육부, 법무부 (2018) 법무부 외국인 유학생 비자 제도 발전 간담회 자료집 [3] 베트남 투자청 (2019) 베트남 투자청 통계-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FDI) 동향 [4]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8) 2018년 출입국 외국인 정책 본부 연감 [5]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9)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2019년 3월호 [6] Blei, D. M. (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 77-84. [7] Casella, G. & George, E. I. (1992) Explaining the Gibbs Sampler. The American Statistician, 46(3) : 167-174. [8] Department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9). Education Statistics Analysis Data Sheet - Higher Education Statistics Division [9] 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main.do 1267
ADSENSE

CÓ THỂ BẠN MUỐN DOWNLOAD

 

Đồng bộ tài khoản
4=>1